○ 말씀전문
1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바로에게 가서 그에게 이르기를 여호와의 말씀에 내 백성을 보내라 그들이 나를 섬길 것이니라
2 네가 만일 보내기를 거절하면 내가 개구리로 너의 온 땅을 치리라
3 개구리가 나일 강에서 무수히 생기고 올라와서 네 궁과 네 침실과 네 침상 위와 네 신하의 집과 네 백성과 네 화덕과 네 떡 반죽 그릇에 들어갈 것이며
4 개구리가 너와 네 백성과 네 모든 신하에게 기어오르리라 하셨다 하라
5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아론에게 명령하기를 네 지팡이를 잡고 네 팔을 강들과 운하들과 못 위에 펴서 개구리들이 애굽 땅에 올라오게 하라 할지니라
6 아론이 애굽 물들 위에 그의 손을 내밀매 개구리가 올라와서 애굽 땅에 덮이니
7 요술사들도 자기 요술대로 그와 같이 행하여 개구리가 애굽 땅에 올라오게 하였더라
8 바로가 모세와 아론을 불러 이르되 여호와께 구하여 나와 내 백성에게서 개구리를 떠나게 하라 내가 이 백성을 보내리니 그들이 여호와께 제사를 드릴 것이니라
9 모세가 바로에게 이르되 내가 왕과 왕의 신하와 왕의 백성을 위하여 이 개구리를 왕과 왕궁에서 끊어 나일 강에만 있도록 언제 간구하는 것이 좋을는지 내게 분부하소서
10 그가 이르되 내일이니라 모세가 이르되 왕의 말씀대로 하여 왕에게 우리 하나님 여호와와 같은 이가 없는 줄을 알게 하리니
11 개구리가 왕과 왕궁과 왕의 신하와 왕의 백성을 떠나서 나일 강에만 있으리이다 하고
12 모세와 아론이 바로를 떠나 나가서 바로에게 내리신 개구리에 대하여 모세가 여호와께 간구하매
13 여호와께서 모세의 말대로 하시니 개구리가 집과 마당과 밭에서부터 나와서 죽은지라
14 사람들이 모아 무더기로 쌓으니 땅에서 악취가 나더라
15 그러나 바로가 숨을 쉴 수 있게 됨을 보았을 때에 그의 마음을 완강하게 하여 그들의 말을 듣지 아니하였으니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것과 같더라
16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아론에게 명령하기를 네 지팡이를 들어 땅의 티끌을 치라 하라 그것이 애굽 온 땅에서 이가 되리라
17 그들이 그대로 행할새 아론이 지팡이를 잡고 손을 들어 땅의 티끌을 치매 애굽 온 땅의 티끌이 다 이가 되어 사람과 가축에게 오르니
18 요술사들도 자기 요술로 그같이 행하여 이를 생기게 하려 하였으나 못 하였고 이가 사람과 가축에게 생긴지라
19 요술사가 바로에게 말하되 이는 하나님의 권능이니이다 하였으나 바로의 마음이 완악하게 되어 그들의 말을 듣지 아니하였으니 여호와의 말씀과 같더라
20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바로 앞에 서라 그가 물 있는 곳으로 나오리니 그에게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기를 내 백성을 보내라 그러면 그들이 나를 섬길 것이니라
21 네가 만일 내 백성을 보내지 아니하면 내가 너와 네 신하와 네 백성과 네 집들에 파리 떼를 보내리니 애굽 사람의 집집에 파리 떼가 가득할 것이며 그들이 사는 땅에도 그러하리라
22 그 날에 나는 내 백성이 거주하는 고센 땅을 구별하여 그 곳에는 파리가 없게 하리니 이로 말미암아 이 땅에서 내가 여호와인 줄을 네가 알게 될 것이라
23 내가 내 백성과 네 백성 사이를 구별하리니 내일 이 표징이 있으리라 하셨다 하라 하시고
24 여호와께서 그와 같이 하시니 무수한 파리가 바로의 궁과 그의 신하의 집과 애굽 온 땅에 이르니 파리로 말미암아 그 땅이 황폐하였더라
25 바로가 모세와 아론을 불러 이르되 너희는 가서 이 땅에서 너희 하나님께 제사를 드리라
26 모세가 이르되 그리함은 부당하니이다 우리가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 제사를 드리는 것은 애굽 사람이 싫어하는 바인즉 우리가 만일 애굽 사람의 목전에서 제사를 드리면 그들이 그것을 미워하여 우리를 돌로 치지 아니하리이까
27 우리가 사흘길쯤 광야로 들어가서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 제사를 드리되 우리에게 명령하시는 대로 하려 하나이다
28 바로가 이르되 내가 너희를 보내리니 너희가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께 광야에서 제사를 드릴 것이나 너무 멀리 가지는 말라 그런즉 너희는 나를 위하여 간구하라
29 모세가 이르되 내가 왕을 떠나가서 여호와께 간구하리니 내일이면 파리 떼가 바로와 바로의 신하와 바로의 백성을 떠나려니와 바로는 이 백성을 보내어 여호와께 제사를 드리는 일에 다시 거짓을 행하지 마소서 하고
30 모세가 바로를 떠나 나와서 여호와께 간구하니
31 여호와께서 모세의 말대로 하시니 그 파리 떼가 바로와 그의 신하와 그의 백성에게서 떠나니 하나도 남지 아니하였더라
32 그러나 바로가 이 때에도 그의 마음을 완강하게 하여 그 백성을 보내지 아니하였더라
○ 내용관찰
이스라엘 백성들을 애굽으로부터 구원하시려는 하나님의 바로 공격이 계속됩니다. 7장에서 첫째 재앙인 나일강의 핏빛 재앙에도 불구하고 바로가 애굽 백성들을 내어보내지 않자. 두번째 재앙으로 개구리 떼를 들끓게 합니다. 그러자 바로가 모세에게 백성들을 보내게 하겠다며 개구리들을 없애라고 합니다. 하나님이 개구리들을 퇴치하자 바로는 약속을 여기고 지키지 않았습니다. 그러자 세번째 재앙으로 온 땅의 티끌을 이가 되게 하여 온 애굽에 이가 들끓게 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로의 완악한 마음은 꿈쩍도 하지 않습니다. 다시 하나님은 네번째 재앙 파리떼를 보냅니다. 그러자 바로가 모세에게 알았다며, 제사를 드리되 애굽 땅 내에서 드리라고 합니다. 하지만 모세는 애굽 사람들이 히브리 인들이 드리는 제사를 미워하므로, 그들이 이스라엘 백성들이 제사를 드리는 것을 방해할 지 모르므로 사흘 길 쯤 떨어진 광야에 가서 제사를 드리도록 허락하라고 합니다. 바로가 그렇게 하되 너무 멀리는 가지 말라고 경고합니다. 하지만 완악한 마음이 도진 바로는 결국 이스라엘 백성들을 떠나지 못하게 하고 약속을 저버렸습니다.
○ 연구와 묵상
나일강의 피빛, 개구리, 이, 파리떼, 하나님은 왜 이런 종류의 재앙을 대상으로 삼았을까 하는 의구심이 듭니다. 더 자극적이고 더 두렵게 할 수 있는 것들도 있을 텐데, 왜 굳이 이런 종류의 재앙을 택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조금 깊게 살펴보면 그것이 하나님의 예리하신 계획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들은 당시 애굽 사람들에게 그들이 섬기던 신들의 허무함을 깨닫게 해 주기 위함입니다. 소위 대표적인 우상을 의미합니다.
나일강의 피빛은 그들이 섬기던 나일강의 신, 나일강은 이집트 인들의 젖줄인데 그 젖줄을 다스리는 신 오시리스이 여호와에 의해 힘 한번 써보지 못함을 보여주신 것입니다. 그들이 숭배하는 오시리스가 얼마나 무력한 존재인가를 보여주시면서 전능하신 하나님의 말을 들으라는 것입니다. 이집트 사람들은 몸은 사람이고 머리는 개구리 모양인 헤케트라는 신을 다산과 풍요를 주는 신으로 섬겼습니다. 그런 다산과 풍요를 주는 헤케트 조차도 그들을 괴롭하는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경고를, 그들의 믿음의 허무함을 보여주신 것입니다. 티끌이 이가 되게도 하였습니다. 티끌은 땅을 이루는 한 요소입니다. 땅은 그들에게 너무나 소중한 것입니다. 그들이 딛고 살고, 그 땅에서 소출을 얻어 살아가게 됩니다. 그래서 그들은 그 땅을 다스린다고 생각하는 땅의 게브를 섬겼습니다. 그런데 그 땅의 티끌이 자신들에게 재앙이 될 수 있음을 느끼게 하신 것입니다. 그들이 믿고 있는 땅의 신 게브도 얼나마 허무하고 허구적인 것인가를 깨닫게 하고자 하심이었습니다. 또한 이집트인들은 몸은 사람이고 머리는 쇠똥구리인 케프리 라는 신을 믿었습니다. 케프리는 태양의 운행을 관장하는 신이라고 믿었습니다. 정해진 시간에 해를 뜨게 하고, 그들이 필요한 것에 빛을 비추게 하며 또 정해진 시간에 해가 지게하는 신이라고 여겼습니다. 쇠똥구리와 같은 과에 속한 벌레가 파리입니다. 이 케프리가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면 그들은 농사도 지을 수 없는데, 그 케프리 조차 하나님 앞에서 꼼짝하지 못하는 무기력함을 보여준 것입니다.
이처럼 하나님은 이집트의 왕 바로와 백성들이 믿고 의지하는 신들, 하나님 입장에서 보면 대표적인 우상들이 얼마나 무력한 존재인지, 그리고 그들을 전부 무력화 시키시는 하나님이 얼마나 전능하신 분인지를 알고, 지금이라도 이스라엘 백성들을 내어놓으라고 하십니다. 우리가 깨달아야 할 것은, 우리 역시, 자신도 깨닫지 못하는 우상들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우상들이 우리의 진정한 구원을 가로막고 있음을 깨달아야 합니다. 그것이 얼마나 허무한 것들인지를 깨달아야만 합니다. 모세가 주장한 출애굽의 명분은 예배였습니다. 우리가 이 우상의 지배에서 벗어나야만 우리에게도 온전한 예배가 회복됩니다. 우상을 벗고 삶의 예배를 회복하는 소중한 주일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 결단과 적용
○ 기도제목
'신앙_QT_B > 신앙_QT_출애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714_QT_출애굽기10장_감성, 이성, 신성 (0) | 2020.07.14 |
---|---|
200713_QT_출애굽기9장_같은 사건, 다른 결과 (0) | 2020.07.13 |
200710_QT_출애굽기7장_고난과 고생 (0) | 2020.07.10 |
200709_QT_출애굽기6장_자존감의 원천 (0) | 2020.07.09 |
200708_QT_출애굽기5장_출애굽의 첫 명분 (0) | 2020.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