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용관찰
위대한 왕 히스기야가 죽자 그의 아들 므낫새가 왕이 됩니다.
그는 아버지인 히스가야와는 정 반대로 악한 왕이었습니다.
아버지가 바로 새운 성전에서 바알 신들을 섬기고
산당을 꾸미고 아세라 목상들을 만들어 세웠습니다.
그리고 일월성신을 섬기고 그들과 언약식도 했습니다.
여호와가 선지자들을 보내 경고했지만 그는 괴이치 않았으며
결국 여호와가 앗수르를 통해 침공하고 므낫세를 바벨론으로
끌고 가는 치욕을 안겨주었습니다.
그제서야 정신을 차리고 여호와께 회개하고 기도하였습니다.
그러자 여호와는 그를 다시 유다의 왕으로 복귀시켰으며
그는 우상들을 철거하고 다시 여호와를 섬겼습니다.
그가 55년을 다스리다가 죽자 그의 아들 아몬이 왕이 되었으며
아몬 역시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다가
그의 신하의 반역으로 죽임을 당합니다.
○ 연구와 묵상
역대하를 통해 유다의 역사를 볼 수 있습니다.
여호와를 제대로 섬기다가 배역하였다가 하는 모습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안타까운 모습입니다.
우리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똑같은 생활 환경에 놓여 있는데도 즐거운 마음일 때도 있지만
우울한 마음으로 하루를 시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어진 일터, 주어진 가정환경, 주어진 사람
모든 것에는 변화가 없는데도 내 마음이, 내 신앙이 시시각각
달라짐을 보게 됩니다. 참으로 안타까운 삶입니다.
이 변덕스러움 역시 인간의 연약함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여호와 보시기에 악한 왕인 므낫새가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여호와께로 돌아온 것처럼
우리도 이 변덕스러움에서 감사와 기쁨의 삶으로 돌아와야 합니다.
기쁨의 신앙, 감사의 신앙을 회복하고 유지해야 하며
기쁨과 우울을 반복하는 변덕스러운 삶에서
늘 기쁨으로 사는 삶으로 돌와오고 늘 유지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세미한 음성에 늘 귀를 기울이고
말씀과 기도를 보약으로 삼아야 합니다.
부족함이 없는데도 행복하지 못하면 그것은 자신의 잘못입니다.
○ 결단과 적용
1. 우울함은 개인적인 욕심을 채우지 못함 때문이다. 과욕을 버리고
만족과 기쁨으로 가족과 직장 동료들을 대하자
2. 오늘은 시골에 계신 어머니에게 안부 전화를 드리자
○ 기도제목
1. 일할 수 있는 직장을 축복으로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 직장이
사역의 장이 되어 하나님의 일을 할 수 있는 자리가 되도록
2. 주신 것에 만족하며 늘 기쁨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3.
4.
5.
6.
7.
8.
'신앙_QT_A'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0320_QT_역대하35장_요시야의 유월절 (0) | 2018.03.20 |
---|---|
180319_QT_역대하4장_신앙교육의 중요성 (0) | 2018.03.19 |
180315_QT_역대하32장_사람의 지혜와 하나님의 지혜 (0) | 2018.03.15 |
180314_QT_역대하31장_선순환 (0) | 2018.03.14 |
180313_QT_역대하30장_중심을 선하게 하자 (0) | 2018.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