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행전 (21장 1절~16절) 바울의 감사
01 우리가 그들을 작별하고 배를 타고 바로 고스로 가서 이튿날 로도에
이르러 거기서부터 바다라로 가서
02 베니게로 건너가는 배를 만나서 타고 가다가
03 구브로를 바라보고 이를 왼편에 두고 수리아로 항해하여 두로에서 상
륙하니 거기서 배의 짐을 풀려 함이러라
04 제자들을 찾아 거기서 이레를 머물더니 그 제자들이 성령의 감동으로
바울더러 예루살렘에 들어가지 말라 하더라
05 이 여러 날을 지낸 후 우리가 떠나갈 새 그들이 다 그 처자와 함께 성
문 밖까지 전송하거늘 우리가 바닷가에서 무릎을 꿇어 기도하고
06 서로 작별한 후 우리는 배에 오르고 그들은 집으로 돌아가니라
07 두로를 떠나 항해를 다 마치고 돌레마이에 이르러 형제들에게 안부를
묻고 그들과 함께 하루를 있다가
08 이튿날 떠나 가이샤라에 이르러 일곱 집사 중 하나인 전도자 빌립의
집에 들어가서 머무니라
09 그들에게 딸 넷이 있으니 처녀로 예언하는 자라
10 여러 날 머물러 있더니 아가보라 하는 한 선지자가 유대로부터 내려
와
11 우리에게 와서 바울의 띠를 가져다가 자기 수족을 잡아매고 말하기를
성령이 말씀하시되 예루살렘에서 유대인들이 이같이 띠 임자를 결박
하여 이방인의 손에 넘겨 주리라 하거늘
12 우리가 그 말을 듣고 그 곳 사람들과 더불어 바울에게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지 말라 권하니
13 바울이 대답하되 여러분이 어찌하여 울어 내 마음을 상하게 하느냐
나는 주 예수의 이름을 위하여 결박 당할 뿐 아니라 예루살렘에서 죽
을 것도 각오하였노라 하니
14 그가 권함을 받지 아니하므로 우리가 주의 뜻대로 이루어지이다 하고
그쳤노라
15 이 여러 날 후에 여장을 꾸려 예루살렘으로 올라갈새
16 가이샤라의 몇 제자가 함께 가며 한 오랜 제자 구브로 사람 나손을 데
리고 가니 이는 우리가 그의 집에 머물려 함이라
------------------------------------------------------------
‘제2차 세계대전’과 ‘가장 긴 밤’의 저자인 라이언은 생의 마지막을 암
으로 투병하다가 갔습니다. 그는 투병생활의 아픔 중에도 ‘오늘도 좋은
날 주심을 감사합니다’ 라며 쉬지않고 기도하며 살았습니다. 그를 바라
본 아내가 암으로 고통 받는데 무엇이 그렇게 감사하냐고 묻자, 그는 새
날을 맞을 때마다 다섯 가지를 감사한다고 했습니다. 사랑하는 당신을
다시 보게 되어, 가족들의 음성을 다시 들을 수 있어서, 죽기 전에 작품
을 탈고할 수 있게 되어, 병과 싸울 힘을 준 것에 감사하며, 무엇보다도
하나님이 지금도 나와 함께 하심에 대해 감사한다고 했습니다. 오늘 본
문에서는 바울이 범사에 감사함이 무엇인지를 몸소 보여줍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뜻을 확실히 깨달으면 흔들림 없이 감사하며 살 수 있다는 것
입니다. 그럼 우리가 바울처럼 범사에 감사한 삶을 살려면……
1. 부르심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합니다.
예루살렘으로 가면 환란을 당할 것이라며 만류했지만 바울은 죽임을 당
할지라도 가겠다고 했습니다. 그것은 바울이 다메섹 도상에서의 예수님
의 부르심을 기억했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이 십자가가 기다리고 있음을
알면서도 피하지 않은 것처럼 그도 예루살렘에서 환란이 기다리고 있음
을 알고도 피하지 않은 것입니다. 부르심에 대한 확신은 범사에 감사하
며 무엇이든 감당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지금의 이 자리가 바로 하나님
이 부르신 자리임을 기억하며 범사에 감사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2. 사명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합니다.
바울은 예수님으로부터 이방인에 대한 복음을 사명으로 받았습니다. 사
명은 내가 살아야 할 이유입니다. 이 사명이 없으면 우리는 삶을 허비하
게 되지만 확실한 사명이 있으면 그 사명의 길에서 부닥치는 그 어떤 난
관도 견뎌낼 수 있습니다. 바울이 이방인의 복음을 사명으로 받았다면
우리는 아직 구원을 받지 못한 자들의 복음을 사명으로 받은 자입니다.
그러므로 생명을 건지는 이 사명을 위해 기쁨으로 살아가야 합니다.
3. 부활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합니다.
바울이 사명의 길에서 주저앉지 않을 수 있었던 것은 그가 다메섹 도상
에서 부활하신 예수님을 직접 체험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죽음조차도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 바울처럼 이 부활의 가치를 확신해야
만 비록 지금 내 앞에 핍박과 죽음이 도사리고 있음을 보게 되더라도 감
사할 수 있게 됩니다. 부활의 확신으로 다시 한번 무장하기 바랍니다.
'신앙_설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1129_설교정리_예수의 증인 바울 (0) | 2015.11.29 |
---|---|
151125_설교정리_인생이 흔들릴 때 (0) | 2015.11.26 |
151113_설교정리_추수감사 특별새벽기도_금요일 (0) | 2015.11.13 |
151112_설교정리_추수감사 특별새벽기도_목요일 (0) | 2015.11.12 |
151111_설교정리_추수감사 특별새벽기도_셋째날 (0) | 2015.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