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행전 (14장 8절 ~ 18절) 자기 우상화의 유혹
08 루스드라에 발을 쓰지 못하는 한 사람이 앉아 있는데 나면서 걷지 못
하게 되어 걸어 본 적이 없는지라
9 바울이 말하는 것을 듣거늘 바울이 주목하여 구원 받을 만한 믿음이
그에게 있는 것을 보고
10 큰 소리로 이르되 네 발로 바로 일어서라 하니 그 사람이 일어나 걷는
지라
11 무리가 바울이 한 일을 보고 루가오디아 방언으로 소리 질러 이르되
신들이 이 사람의 형상으로 우리 가운데 내려오셨다 하여
12 바나바는 제우스라 하고 바울은 그 중에 말하는 자이므로 헤르메스라
하더라
13 시외 제우스 신당의 제사장이 소와 화환들을 가지고 대문 앞에 와서
무리와 함께 제사하고자 하니
14 두 사도 바나바와 바울이 듣고 옷을 찢고 무리 가운데 뛰어 들어가서
소리 질러
15 이르되 여러분이여 어찌하여 이러한 일을 하느냐 우리도 여러분과 같
은 성정의 사람이라 여러분에게 복음을 전하는 것은 이런 헛된 일을
버리고 천지와 바다와 그 가운데 만물을 지으시고 살아계신 하나님께
로 돌아오게 함이라
16 하나님이 지나간 세대에는 모든 민족으로 자기들의 길들을 가게 방임
하셨으나
17 그러나 자기를 증언하지 아니하신 것이 아니니 곧 여러분에게 하늘로
부터 비를 내리시며 결실기를 주시는 선한 일을 하사 음식과 기쁨으
로 여러분의 마음에 만족하게 하셨느니라 하고
18 그렇게 말하여 겨우 무리를 말려 자기들에게 제사를 못하게 하니라
-------------------------------------------------------------------
성경을 통틀어 하나님이 가장 싫어하시는 것이 우상 숭배임을 알고 있습
니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끊없이 우상을 만들어 하나님의 진노를 샀습니
다. 구약은 마치 우상과 하나님간의 굴곡의 역사처럼 보입니다. 인간이
끝없이 우상을 만드는 것은 하나님이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시각중시
의 인간 본성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상에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 외에도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바로 자기우상입니다. 돈이 많아 지거
나 출세하게 되면 대접받고 싶은 유혹이 들고, 그 대접이 교만의 극치에
까지 이르게 되면 그것이 바로 자기우상입니다. 바나바와 바울은 사람들
이 신처럼 여기는 유혹에 부닥쳤지만 이를 단호히 배격함을 보게 됩니다.
우리에게도 찾아 올 수 있는 이 자기우상화의 유혹을 극복하려면……
1. 타인의 믿음의 가능성을 인정해야 합니다.
못 걷던 자가 걷게 된 데는 그 사람에게 구원받을 만한 믿음이 있었기 때
문이라고 그들은 얘기합니다. 자기들의 믿음 때문에 고쳤다고 하지 않습
니다. 그들은 하나님은 특정한 사람에게만 하나님의 일을 하시게 하시지
않고 누구를 통해서건, 하시고자 하면 언제든 하실 수 있는 분임을 잘 알
고 있습니다. 내가 지금 갖게 된 어느 것도 하나님이 타인에게 주고자 하
면 그에게 임할 수 있음을, 남을 나보다 낫게 여기며 살아야 합니다.
2. 자기의 능력의 한계점을 인정해야 합니다.
바울과 바나바가 걸을 수 없었던 사람을 걷게 하자, 사람들은 신이 사람
형상을 하고 내려왔다며 제사를 지내려 했습니다. 그러자 그들은 놀라서
고함치며 부정했습니다. 그들은 자신이 누구인지를 명확히 알고 그 유혹
을 배격했습니다. 내가 이룬 성공에 자만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건 내 능
력으로 된 것도 있지만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그것을 깨달아야 합니다.
3. 주님의 은혜의 결과임을 인정해야 합니다.
그들은 걷지 못하던 자의 치유가 그들이 한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헛된
것을 버리고 하나님에게로 돌아오라는 하나님의 은혜라고 합니다. 자기
들의 공로는 아무 것도 없다고 합니다. 우리는 오늘 이만큼 온 것을 자신
이 수고해서 얻은 것이라고 생각하며, 하나님의 은혜임을 망각하고 삽니
다. 이 은혜를 아는 삶을 회복해야 자기우상의 유혹을 떨칠 수 있습니다.
'신앙_설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0617_수요예배_성막기구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 (0) | 2015.06.18 |
---|---|
150614_설교정리_사명이 이끄는 삶 (0) | 2015.06.14 |
150531_설교정리_주를 힘입어 담대히 (0) | 2015.05.31 |
150524_설교정리_복음에 대한 반응 (0) | 2015.05.24 |
150517_설교정리_바울의 역사인식 (0) | 2015.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