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 일은 아하수에로 왕 때에 된 것이니 아하수에로는 인도로 구스까지 일백이십칠 도를 치리 하는 왕이라
2 당시에 아하수에로 왕이 수산 궁에서 즉위하고
3 위에 있은 지 삼 년에 그 모든 방백과 신복을 위하여 잔치를 베푸니 바사와 메대의 장수와 각 도의 귀족과 방백들이 다 왕 앞에 있는지라
4 왕이 여러 날 곧 일백팔십 일 동안에 그 영화로운 나라의 부함과 위엄의 혁혁함을 나타내니라
5 이 날이 다하매 왕이 또 도성 수산 대소 인민을 위하여 왕궁 후원 뜰에서 칠 일 동안 잔치를 베풀새
6 백색, 녹색, 청색 휘장을 자색 가는 베줄로 대리석 기둥 은고리에 매고 금과 은으로 만든 걸상을 화반석, 백석, 운모석, 흑석을 깐 땅에 진설하고
7 금잔으로 마시게 하니 잔의 식양이 각기 다르고 왕의 풍부한 대로 어주가 한이 없으며
8 마시는 것도 규모가 있어 사람으로 억지로 하지 않게 하니 이는 왕이 모든 궁내 관리에게 명하여 각 사람으로 마음대로 하게 함이더라
9 왕후 와스디도 아하수에로 왕궁에서 부녀들을 위하여 잔치를 베푸니라
10 제칠일에 왕이 주흥이 일어나서 어전 내시 므후만과 비스다와 하르보나와 빅다와 아박다와 세달과 가르가스 일곱 사람을 명하여
11 왕후 와스디를 청하여 왕후의 면류관을 정제하고 왕의 앞으로 나아오게 하여 그 아리따움을 뭇 백성과 방백들에게 보이게 하라 하니 이는 왕후의 용모가 보기에 좋음이라
12 그러나 왕후 와스디가 내시의 전하는 왕명을 좇아 오기를 싫어하니 왕이 진노하여 중심이 불붙는 듯 하더라
13 왕이 사례를 아는 박사들에게 묻되 (왕이 규례와 법률을 아는 자에게 묻는 전례가 있는데
14 때에 왕에게 가까이 하여 왕의 기색을 살피며 나라 첫 자리에 앉은 자는 바사와 메대의 일곱 방백 곧 가르스나와 세달과 아드마다와 다시스와 메레스와 마르스나와 므무간이라)
15 왕후 와스디가 내시의 전하는 아하수에로 왕명을 좇지 아니하니 규례대로 하면 어떻게 처치할꼬
16 므무간이 왕과 방백 앞에서 대답하여 가로되 왕후 와스디가 왕에게만 잘못할 뿐 아니라 아하수에로 왕의 각 도 방백과 뭇 백성에게도 잘못하였나이다
17 아하수에로 왕이 명하어 왕후 와스디를 청하여도 오지 아니하였다 하는 왕후의 행위의 소문이 모든 부녀에게 전파되면 저희도 그 남편을 멸시할 것인즉
18 오늘이라도 바사와 메대의 귀부인들이 왕후의 행위를 듣고 왕의 모든 방백에게 그렇게 말하리니 멸시와 분노가 많이 일어나리이다
19 왕이 만일 선히 여기실진대 와스디로 다시는 왕 앞에 오지 못하게 하는 조서를 내리되 바사와 메대의 법률 중에 기록하여 변역함이 없게 하고 그 왕후의 위를 저보다 나은 사람에게 주소서
20 왕의 조서가 이 광대한 전국에 반포되면 귀천을 무론하고 모든 부녀가 그 남편을 존경하리이다
21 왕과 방백들이 그 말을 선히 여긴지라 왕이 므무간의 말대로 행하여
22 각 도 각 백성의 문자와 방언대로 모든 도에 조서를 내려 이르기를 남편으로 그 집을 주관하게 하고 자기 민족의 방언대로 말하게 하라 하였더라
○ 내용관찰
페르시아의 아하수에로 왕은
즉위 후 3년이 되자 자신의 힘을 과시하기 위해
무려 6개월간이나 잔치를 벌렸습니다.
6개월의 잔치가 끝나자 다시 도성의 관리들을 불러
7일간의 잔치를 거행했습니다.
술이 거나하게 취하자 자기 아내인 와스디 왕후의
아름다움을 자랑하고 싶어서 왕후를 데려오라 합니다.
하지만 와스디 왕후는 술취한 자들 앞에 서는 것이
수치스러워 거절하게 됩니다.
술에 취한 아하수에로 왕은 그러한 왕후의 태도에
화가 나서 측근들의 의견을 묻게 되고
술취한 측근들이 왕후를 그대로 두면
페르시아 뭇 여성들이 왕후와 똑같이
남편을 우습게 여길 수 있으므로
왕후를 폐위하라고 종용합니다.
이에 왕은 남편이 가정을 주관하라 것과
언어가 다른 부부가 있다면
남편의 언어를 사용하라는 조서를 내리게 됩니다.
○ 연구와 묵상
사람에 따라서는 자신의 특정한 지위를 중요시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가장으로서의 지위를 중요시 하는 사람은 가족 중에서
자신의 권위에 도전하는 말을 하거나 행위를 하게 되면
평상심을 잃어 버릴 정도로 화를 내는 사람이 있습니다.
직장에서도 교회에서도 있습니다.
직장에서 조직책임자는 누군가
자신의 직책에 대한 자부심을 건드리면
평소와는 전혀 다른 반응을 보이는 사람이 많습니다.
교회의 장로나 목사 중에서도 그 권위를 위협하는
말에는 참지 못하고 불같이 화내는 사람이 많습니다.
오늘 본문의 아하수에로 왕이 그런 모습을 보입니다.
술취한 관원들 앞에 나와 자신을 보이게 하는 것을
수치스럽게 생각한 왕후의 언행이 결코 폐위를 당할 정도는
아닌데도 폐위라는 극단적 결과로 치닫습니다.
사람이 가진 직위나 직책은 껍데기에 불과한 것임을 모르고
그 껍데기에 집착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모두 하나님의 자녀입니다.
그것이 우리의 정체성입니다.
이 정체성에서 바라보면 목사든 장로든 권사든
그 직책은 껍데기에 불과합니다.
어떤 사람에게든 하나님의 자녀임을 인식하고
서로 존중하고 섬기는 것이 우리의 정체성을 올바르게
드러내는 방법입니다.
○ 결단과 적용
1.
2.
○ 기도제목
1.